2014년 4월 3일 목요일

Growing Object-Oriented Software Guided by Tests

Example Code

The Worked Example (Auction Sniper)

The code for the long Auction Sniper worked example, which makes up Part III of the book, is available in a number of programming languages:

Examples from the Sustainable TDD and Advanced Topics Parts

Smaller code examples from other chapters, including Test DiagnosticsTest FlexibilityTesting PersistenceTesting Multithreaded Code and Testing Asynchronous Code:

A Maybe Type

A Maybe type, as mentioned in the Flexibility chapter.

Tools

You'll need Git to check out any of the code examples. The free version of IntelliJ comes with Git support as part of the standard install.
To explore the Java code you can use the Eclipse and/or IntelliJ IDEs.

2014년 4월 1일 화요일

Double submit 방지

In Web development, the most common issue is the double same form submission. Often times, users like to press few time on the submit button to make sure the button is surely clicked, and causing the double form submission issue.
The common solution is disabled the submit button after user clicked on it, and display a loading or submitting message to show user the form is on the progress.

Disable submit button

To disable the submit button with jQuery, you just need to add a “disabled” attribute to the submit button.
$('input:submit').click(function(){
 $('p').text("Form submiting.....");
 $('input:submit').attr("disabled", true); 
});

Enable submit button

To enable back the disabled submit button, set the “disabled” attribute to false, or remove the “disabled” attribute.
$('input:submit').attr("disabled", false); 
or
$('input:submit').removeAttr("disabled");

Try it yourself

<html>
<head>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jquery-1.4.2.min.js"></script>
 
<style type="text/css">
 .submit{
  padding:8px;
  border:1px solid blue;
 }
</style>
 
</head>
 
<body>
 
<h1>Disabled submit form button after clicked with jQuery</h1>
 
<form action="#">
 <p>
  I'm a form ~
 </p>
 <input type="submit" value="Submit"></input>
        <button>Enable Submit Button</button>
</form>
 
<script type="text/javascript">
 
$('input:submit').click(function(){
 $('p').text("Form submiting.....").addClass('submit');
 $('input:submit').attr("disabled", true); 
});
 
$('button').click(function(){
 $('p').text("I'm a form ~").removeClass('submit');
 $('input:submit').attr("disabled", false); 
});
 
</script>
 
</body>
</html>

2014년 3월 31일 월요일

window 및 linux 계열 netstat

netstat command → PC와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준다.
◆ Window
netstat -nap tcp | find "LISTEN"
→ 현재 local PC에 열린 port를 보여준다.   TCP만 보여준다.
netstat -nap udp | find "LISTEN"
→ 현재 local PC에 열린 port를 보여준다.   UDP만 보여준다.
netstat -nao | find "LISTEN"
→ 현재 local PC에 열린 port를 보여준다.   TCP + UDP 둘다 보여준다.
netstat -nao | find "80"
→ 현재 local PC에 열린 80port로 접속한 IP를 보여준다.
netstat -nao | find "122:80"
netstat -nao | find "특정 IP:80"
→ 현재 local PC에 80port 특정 IP가 접속한 리스트를 보여준다.
netstat -nao | find "80" /c
netstat -nao | find "특정 IP:80" /c
→ 현재 local PC에 80port로 접속한 리스트의 수를 보여준다.

◆ Linux
netstat -na
→ 해당 PC에 연결된 PC의 IP와 열려진 PORT와 Protocol Type이 나온다.
netstat -nap
→ Local PC에 접속한 IP 리스트가 보인다.
netstat -nao | grep LISTEN
→ Local PC에 접속한 IP 리스트가 보인다.
netstat -nau | grep LISTEN
→ Local PC의 TCP/UDP 열린 PORT가 보인다.
netstat -nat | grep LISTEN
→ Local PC의 열린 TCP 방식 PORT가 보인다.
netstat -nao | grep 80
→ 현재 Local PC에 80 PORT로 접속한 IP를 보여준다.
netstat -nao | grep 특정 IP:80
→ 현재 Local PC에 80 PORT로 특정 IP가 접속한 리스트를 보여준다.


※ netstat 의 ststus는 현재 상태이며, ESTABLISHED는 연결되어있는
   상태를 말하며, CLOSED는 이미 연결이 귾어졌음을 말한다.
    LISTENING은 현재 시스템에서 열려있는 포트며 연결을 기다리는 포트이다.



tomcat 사용시 해당 포트가 사용중이라고 tomcat 실행이 되지 않을때
1. cmd창에서 사용중인 프로세스 ID 확인 (해당 포트가 사용중인 PID)
netstat -ao
2. taskkill로 삭제
taskkill /PID 1111
3. netstat -ao로 다시 확인했을 때 아직 죽어있지 않으면 강제 종료
taskkill /F /PID 1111






2014년 2월 26일 수요일

velocity null check

#if ($car.fuel == null) #if( ! $car.fuel ) #if( "$!car.fuel" == "" ) #if( "$car.fuel" == "" ) #if ((! $car.fuel) && ("$!car.fuel" == "")) #if( $null.isNull($car.fuel) )

2014년 2월 24일 월요일

linux 서버에 메일서버 설정

1. sendMail을 설치하기전에 postfix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2. #service postfix status

 

3. 만약 postfix가 설치 되어 있으면 sendmail 설치하지 말것

 

4. sendmail을 설치해도 이전에 postfix가 먼저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권이 postfix에게 있음.

 

5. 설치 #yum install postfix*

 

6. # yum install postfix*

 

7. # vi /etc/postfix/main.cf

myhostname = mail.neulwon.com        // 현재 사용중인 메일 서버 호스트
mydomain = neulwon.com        // 메일 주소에 사용할 도메인
inet_interfaces = all        // 모든 IP에서 25번 포트 접근 허용
mydestination = neulwon.com        // 메일을 수신 받을 도메인 도메인
mynetworks = 0.0.0.0/0        // 릴레이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outlook 등으로 메일 발송하려면 IP를 등록해야 하는데, 불특정 IP나 유동 IP로 인해 모든 IP를 허용한 상태 입니다.스팸발송 방지를 위해 메일 발송 인증 설정은 꼭 해두어야 합니다.

8. 구동 #/etc/init.d/postfix start

VIM 단축키 정리

vi 편집기 명령 vi 편집기에서는 커서이동모드와 텍스트 모드 명령모드가 있습니다.
입력키의 종류 (커서 이동모드 에서 텍스트 모드로 전환할때 사용)
a - 커서 위치의 다음 칸부터 입력하기 A - 커서가 있는 줄의 끝부터 입력하기 i - 커서 위치부터 입력하기 (키보드의 insert도 같은 기능) I - 커서가 있는 줄의 맨 앞에서부터 입력하기 o - 커서 바로 아래에 줄을 만들고 입력하기 (open line) O - 커서 바로 위에 줄을 만들고 입력하기 s - 커서가 있는 단어를 지우고 입력하기 S - 커서가 있는 행을 지우고 입력하기
C - 커서가 위치한 지점부터 끝 지점까지 지우고 입력하기
○ 커서이동 모드에서는
  • 글자단위이동 h -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하기 l - 한 칸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j - 한 줄 아래로 이동하기 k - 한 줄 위로 이동하기 (number) + G - 해당 번호로 이동
  • 단어단위이동 w - 다음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 W - 다음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하기 b - 이전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 B - 이전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하기 e -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 E -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하기 (이동과 이동하기의 차이점은 해보면 약간있는데 별차이 없는듯)
  • 줄단위이동 ^ - 그 줄의 첫 글자로 이동, shift와 함께 사용 $ - 그 줄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하기, shift와 함께 사용 0 - 그 줄의 처음으로 이동 enter - 다음 줄의 첫 글자로 이동하기 + - 다음 줄의 첫 글자로 이동 - - 윗줄의 첫 글자로 이동하기
  • 삭제 키의 종류 x - dl 커서 위치의 글자 삭제 X - dh 커서 바로 앞의 글자 삭제 dw - 한 단어를 삭제 d0 - 커서 위치부터 줄의 처음까지 삭제 D - d$ 커서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삭제 dd - 커서가 있는 줄을 삭제 dj - 커서가 있는 줄과 그 다음 줄을 삭제 dk - 커서가 있는 줄과 그 앞줄을 삭제
  • 수정 키의 종류 r - 커서 위치의 한 글자 수정하기 R - 커서 위치부터 esc를 누를 때까지 다른 글자로 수정하기. 단, 같은 줄에만 해당 s - 커서 위치의 한 글자를 여러 글자로 수정하기 ch - 커서 바로 앞의 한 글자를 여러 글자로 수정하기 cw - 커서 위치의 한 단어를 수정하기 c0 - 커서 위치부터 줄의 처음까지 수정하기 C - 커서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수정하기 cc - 커서가 있는 줄을 수정하기 cj - 커서가 있는 줄과 그 다음 줄을 수정하기 ck - 커서가 있는 줄과 그 앞줄을 수정하기
  • 복사와 붙여넣기 yw - 커서 위치부터 단어의 끝까지 복사하기 y0 - 커서 위치부터 줄의 처음까지 복사하기 y$ - 커서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복사하기 yy - 커서가 있는 줄을 복사하기 yj - 커서가 있는 줄과 그 다음 줄을 복사하기 yk - 커서가 있는 줄과 그 앞줄을 복사하기 p - 커서의 다음 위치에 붙여넣기 P - 커서가 있는 위치에 붙여넣기
  • 작업취소명령 u - 작업 취소하기(undo) U - 그 줄에 행해진 작업 모두 취소하기 . - 조금 전에 했던 명령을 반복하기
  • 검색 및 교체 :s/reg/req/ - 현재행 첫번째로 일치하는 단어 변경 :s/reg/req/g - 현재행 일치하는 모든 단어 변경 :%s/reg/req/ - 확인하지 않고 전역 변경
○ 저장 및 종료키의 종류 ( 커서이동모드에서 명령모드로)
:q - 아무런 변경을 하지 않았을 때 종료하기 :q! -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하기 :wq - 저장하고 종료하기(write and quit) :x - wq와 같은 기능
행번호 보기 :set number - 행번호 보기( = :se nu) :set nonumber - 행번호 보기 해제( = :se nonu)
:w - 문서 저장하기 :q - 현재 문서 닫기 :q! - 저장하지 않고 닫기 :wq - 저장하고 닫기 :숫자 - 지정한 라인넘버로 이동 :new - 가로로 분할된 창 열기 :vs - 세로로 분할된 창 열기 Ctrl + w - 분할창 간에 이동하기 :tabnew - 새로운 탭 열기 :gt - 다음 탭으로 이동하기 :gT - 이전 탭으로 이동하기 :e ./ - 현재 탭에 오픈할 파일 탐색하기( ./ 는 현재위치에서 탐색 시작) :colorscheme 스키마명 - VIM의 칼라스키마를 변경함(blue, desert, evening 등.. 스키마명에서 탭누르면 자동완성됨) zc - 코드 접기(fold) zo - 접힌 코드 펼치기 zd - fold 지우기 zR - 접힌 코드 모두 펼치기 zM - 코드 모두 접기 zD - 모든 fold 지우기 :buffers - 현재 Vim에서 여러 파일을 열었을때 버퍼에 있는 목록 확인 :buffer 숫자 - 버퍼 목록에 나온 숫자를 입력하면 해당 파일을 오픈함 ( :buffer 대신 :b 도 가능) :bnext - 버퍼에 있는 다음 파일로 이동 ( :bn 도 가능) :bprevious - 버퍼에 있는 이전 파일로 이동 ( :bp 도 가능) :ball - 버퍼 목록에 있는 파일들이 가로로 분할된 창에 열림
단축키가 너무 방대에서 일단 쓰는것 위주로만 정리해 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Vim Documentation을 참고하세요. 처음에는 많이 힘들었는데 IDE의 도움을 많이 받지 못하는 개발을 할때는 VIM을 쓸때도 아주 많이 부족하지 않아서 슬슬 사용할만한 정도는 되더군요.(아직도 화살표키로 손이 자꾸 가기는 하지만요 ㅎㅎㅎ)
차례
1. vim 이란
2. VIM의 기본사용법 익히기
2.1. vim 모드
2.2. 명령어모드의 사용
2.2.1. 커서 이동
2.2.2. 화면 스크롤
2.2.3. 마크 이동
2.2.4. 입력 명령
2.2.5. 편집명령
2.2.5.1. 편집(none visual block 모드)
2.2.5.2. Undo (되돌리기)
2.2.5.3. 블럭 지정
2.2.5.4. 편집(visual block 모드)
2.3. ex 모드
2.3.1. 찾기/치환
2.3.2. 파일 저장, 열기, 종료
3. 개발자를 위한 vim 사용팁
3.1. 화면 나누기
3.1.1. 화면 이동
3.1.2. 파일 네비게이션
3.2. 파일 네비게이션 바 만들기
3.3. 여러개의 파일 편집하기
3.4. 잠시 쉘로 나가기
3.5. 선택된 block 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3.6. 빠른 괄호 이동
3.7. 위치 마크(mark)하기
3.8. 폴더(접기) 기능이용하기
3.9. 간단한 man 페이지 참조
3.10. 함수/변수명 자동완성
3.11. ctags 를 이용한 쏘쓰 분석
3.12. 자동들여쓰기
3.13. 탭사이즈 조정하기
3.14. 라인 넘버링
3.15. 코드를 HTML로 저장하기
3.16. vim 설정파일 만들기

1. vim 이란

vim 은 유닉스 계열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도던 vi 의 improve 즉 undo, syntax coloring, split windows 등의 기능을 포함시킨 vi 의 보강된 프로그램이다. 이 문서는 vim 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프로그래밍을 위한 여러가지 팁을 담고 있다. vim 버젼은 6.0 을 기준으로 한다. vim(vi)에 대한 자세한 사용방법은 여기에서는 제시하지 않을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사항만 언급할것이며, 자세한 사용법은 vi 사용자그룹 사이트를 참고하기 바란다.

2. VIM의 기본사용법 익히기

이번장에서는 vim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문서는 VIM의 레퍼런스 가이드는 아니다. 기본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가장 기초적인 내용들만 다룰것이다.

2.1. vim 모드

다른 에디터를 사용하던 유저가 vim을 처음 접하면서 가장 난감해 하는 부분이 vim의 상태(mode)개념이다.vim은 다른 에디터들과 달리, 실행을 시켰다고 해서 즉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많은 vim을 처음 접하는 유저는 어떻게 글을 입력할지 몰라서 vim의 사용을 접게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여기에 그 이유가 있다. vi 는 크게 세가지 상태로 나뉘어진다. 첫번째가 명령어 모드로 키입력이 바로 실행되는 상태이며, 다음은 상태모드로 실제 문서를 편집하는 모드 마지막이 ex 상태로 ex 명령을 실행시키는 상태이다. vi 를 처음실행시키면 입력모드가 아닌 명령모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문자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찾기등과 같은 간단한 문서관련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명령모드 상태에서 ":" 키를 누르면 ex 상태로 a, i, o 키 등을 누르면 입력 상태로 넘어가게 된다. 일단 입력상태로 들어가게 되면 문서 편집을 할수 있게 되는데, 이때 ESC 키를 누르면 명령모드 상태로 넘어가게 된다.
표 1. vim의 상태(mode)
명령 상태 처음 vim을 실행했을때, 입력상태/명령상태에서 ESC입력시 간단한 찾기, 커서 이동, ex 상태로 넘어가기
ex 상태 명령 상태에서 (":") 각종 치환, 저장, 파일읽기, vim설정등과 같은 대부분의 작업들
입력 상태 명령 상태에서 (a,i,o 키 입력) 내용 입력

2.2. 명령어모드의 사용

우리는 명령모드에서 여러가지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복사, 붙이기, 삭제 문서입력, 문서저장, 문서불러오기, 커서이동 등의 작업을 할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이러한 명령모드에서 사용되는 각종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2.2.1. 커서 이동

기본적으로 vi 는 입력모드에서 방향키를 이용해서 커서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있다. 비록 최근의 vim 이 입력모드에서 방향키를 이용한 커서 이동을 지원하고 있기는 하지만, 명령모드에서의 키이동이 훨씬 빠르고 편하므로, 처음에는 좀 어색하더라도 명령모드에서의 키 이동을 익히도록 하자.
표 2. 커서 이동
k 커서를 위로 움직임
j 커서를 아래로 움직임
h 커서를 왼쪽으로 움직임
l 커서를 오른쪽으로 움직임
- 커서를 줄의 처음으로 옮김
e, E 다음단어의 끝으로, 문자단위 이동
w, W 다음단어의 처음으로, 문자단위 이동
$ 줄의 마지막으로
0 줄의 처음으로
^ 줄의 처음으로(공백이 아닌 처음시작되는 문자)
Shift+g 문서의 마지막으로 이동한다.
gg, 1g 문서의 처음으로 이동한다. 1대신 다른 숫자를 입력하면 해당 숫자의 라인으로 이동한다.
), ( 다음, 이전 문장의 처음으로
}, { 다음, 이전문단의 처음으로
]], [[ 다음, 이전 구절의 처음으로

2.2.2. 화면 스크롤

위의 커서명령 이동이 매우 편하기는 하지만, 만약 페이지가 한 2000라인 될경우, 위의 커서를 이용해서 한줄씩 이동하는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것이다. 그래서 vi 에서는 화면 단위의 스크롤이 가능한 명령들을 제공한다. 아래의 화면 스크롤 명령어들을 익히면 빠른 위치이동을 위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 ^F 는 CTRL+F 를 의미한다.
표 3. 화면 스크롤
^F 한 화면 을 앞으로 스크롤
^B 한 화면 을 뒤로 스크롤
^D 반 화면 을 앞으로 스크롤
^U 반 화면 을 뒤로 스크롤
^E 한줄 앞으로 스크롤
^Y 한줄 뒤로 스크롤
Shift + h 화면의 맨 윗줄로
Shift + m 화면의 중간줄로
Shift + l 화면의 맨 아랫줄로

2.2.3. 마크 이동

일종의 책갈피 기능이라고 보면 된다. 자주 참조해야할 라인에 마크를 해놓고 필요할때 곧바로 마크된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마크는 mx 형식으로 사용할수 있다. x 는 (a~z)까지의 문자로 마크된 영역의 이름을 지정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마크된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x 와 `x 를 사용한다. 'x 는 마크된 라인의 가장 앞으로 이동하고, `x 는 마크된 라인의 정확한 위치로 이동한다.

2.2.4. 입력 명령

지금 vi 를 실행시켜보자. vi 는 기본적으로 명령모드로 실행되므로, 지금상태에서는 문서 작성을 할수 없을것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키입력을 통해서 입력모드 상태로 전환할수 있다.
표 4. 입력 명령
i 현재위치에서 삽입
I 현재줄의 처음위치에서 삽입
a 현재위치에서 한칸앞으로 이동해서 삽입
A 현재줄의 마지막위치에서 삽입
o 새로운 줄을 커서 아래에 연다
O 새로운 줄을 커서 위연다
s 현재 위치의 문자를 지우고 입력모드로 들어간다.
S 현재위치의 라인을 지우고 입력모드로 들어간다.

2.2.5. 편집명령

여기에서는 vi의 편집기능인 복사, 붙이기, 삭제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 다른 에디터들은 보통 마우스를 이용해서 블럭을 지정해서 편집을 하는 반면, vi 는 명령어 모드에서 키보드 만을 이용해서 편집이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고 빠르게 편집작업들이 가능하다. 또한 라인단위 블럭, 블럭단위 블럭등의 선택 모드를 지원함으로써, 문서에서 원하는 부분에 대한 작업을 좀더 쉽게 할수 있다.

2.2.5.1. 편집(none visual block 모드)

visual block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이 편집에 관한 내용이다.
표 5. 복사,삭제,붙이기
y 한줄 복사
yn 현재 라인에서부터 n라인만큼을 복사
p 복사된 내용 붙이기
dd 한줄삭제
dw 한단어 삭제
Shift+d, d$ 현재커서 위치에서 마지막까지 삭제
Shift+j 현재 행의 개행문자를 제거한다. 즉 아래라인을 현재라인에 덧붙인다.

2.2.5.2. Undo (되돌리기)

vim 은 다중의 undo 기능을 지원한다. 뒤로 되돌리고 싶다면 단지 'u'키만 입력하면 된다.

2.2.5.3. 블럭 지정

이번엔 블럭지정, 그중에서도 vim 에서 지원하는 visual 블럭 지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vim visual 블럭 지정 기능을 사용할경우 지정범위가 반전되면서 눈에 보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블럭지정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범위지정을 위해서 'hjkl', 'Shift+g,GG' 과 같은 이동명령 과 화면스크롤 명령을 사용해서 범위지정을 좀더 빠르게 할수 있다.
표 6. 블럭지정
v 단어단위로 블럭지정이 가능하다. 블럭범위는 이동명령인 'hjkl' 로 원하는 범위 만큼 지정할수 있다.
Shift+v 라인단위 블럭지정이다. 라인전체가 선택되며, 위아래 이동명령 'hj' 으로 범위 지정이 가능하다.
Ctrl+v 블럭단위 블럭지정이다. 4각형의 블럭지정이 가능하며 이동명령인 'hjkl' 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수 있다.
Shift+v 와 같이 블럭지정을 한후 Shift+G 를 입력하면 현재라인부터 마지막 라인까지가 블럭 지정이 될것이다.

2.2.5.4. 편집(visual block 모드)

일단 vim 의 visual 블럭 지정 기능을 이용해서 편집하기 원하는 블럭을 지정했다면, 각종 편집명령을 이용해서 복사, 붙이기, 삭제 작업이 가능하다. 블럭을 지정한 상태에서 아래의 명령을 이용해서 편집을 하면 된다.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none visual block 모드의 편집 명령어과 같다.
표 7. 편집(복사, 삭제, 붙이기)
y 지정된 블럭을 복사한다.
p 복사된 블럭을 현재라인(커서) 아래에 붙인다.
d 지정된 블럭을 삭제한다.
dd 현재라인을 삭제한다.

2.3. ex 모드

2.3.1. 찾기/치환

vim 의 기능중 가장편리한 기능으리면 뭐니뭐니 해도, 정규표현식을 이용한 강력한 찾기기능과 치환기능이라고 할수 있을것이다. 물론 다른 대부분의 에디터들도 찾기기능과 치환기능을 제공하긴 하지만, vim 의 기능은 다른 에디터들에 비해서 정말로 독보적인 편리함과 강력함을 제공한다. vi 사용자가 다른 에디터로 넘어가기 힘든이유중 가장큰 이유가, 바로 "키를 이용한 방향입력" 과 "찾기 및 치환" 기능 때문이다. 사실 찾기 치환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 에 대한 이해가 필요로 하는데, 이것은 다음의 사이트를 참조하기 바란다. 정규 표현식의 간략한 소개 먼저 찾기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찾기기능은 ':/패턴/' 를 이용 하면된다. 찾기 원하는 문자혹은 패턴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현재 커서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문자열로 커서를 이동시킨다(문서 아래방향으로). 다음 문자열을 찾기를 원한다면 'n'키를 누르면 된다. 문서에서 가장 마지막에 이르르게 되면, 문서의 가장처음부터 다시 찾기 시작한다. 'Shift+n' 을 이력하면 반대 방향(문서의 위쪽으로)으로 찾기를 시작한다. 치환이야 말로 vim 의 꽃이라고 할수 있다. :[범위]s/[oldpattern]/[newpattern]/ 의 형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범위 지정은 visual block 을 이용할수도 있으며, 직접 범위를 입력할수도 있다. visual block 를 이용한 치환은 visual block 를 지정한다음 ':' 를 입력해서 ex 모드로 넘어가면 된다. 그리고나서 ':'<,'>s/[oldpattern]/[newpattern/' 과 같은 방법으로 치환하면 된다. visual block 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범위를 입력할수도 있다. :[시작],[마지막]s/[old]/[new]/ 식으로 범위를 지정하면 된다. 여기에는 몇가지 지정된 범위를 위한 특수 기호들이 있다. '%' 는 전체문서(처음부터 끝까지), '.' 은 현재, '$' 은 마지막 을 나타낸다. 숫자를 입력할경우 숫자는 라인을 나타낸다. 다음은 간단한 사용예이다.
# 문서 처음부터 마지막까지의 char 를 _char_ 로 치환한다.
:%s/char/_&_/g

# 현재(커서위치)부터 마지막까지의 char 를 _char_ 로 치환한다.
:.,$s/char/_&_/g

# buf_.*[255], buf_in[255], buf_get[255] 와 같은 문자열을 hello 로 변경한다.
:1,10s/buf_.*\[255\]/hello/g
마지막에 쓰인 'g' 는 global 이다. 즉 해당 라인 전체에 걸쳐서 검색후 치환한다. 'g' 를 사용하지 않을경우 라인에서 처음에 검색된 문자만 치환하고 다음 라인으로 넘어간다.

2.3.2. 파일 저장, 열기, 종료

파일열기의 경우 vi 를 실행시킬대 명령행 옵션으로 열기가 가능하다. 또한 vi 를 이미 실행 시킨후에도 명령모드에서 명령을 입력함으로 파일을 열수 있다. 열고자 하는 파일이 이미 존재할경우에는 존재하는 파일이 열리고, 열고자 하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경우 새로운 파일이 만들어진다.
표 8. 저장,열기,종료
:e [filename] filename 으로 파일열기
:q, :q!, :wq 종료, 강제종료, 저장후 종료
:w, :w [filename] 현재파일명으로 저장, filename 로 저장
:<범위>w [filename] 지정한 범위만 다른 파일로 저장
:e [filename] filename 을 편집하기 위해서 연다
ZZ 지금파일을 저장하고 vim 을 종료한다.
:f 현재 작업중인 파일의 이름과, 라인수를 출력한다

3. 개발자를 위한 vim 사용팁

3.1. 화면 나누기

vim 은 수평나누기와 수직나누기를 제공한다. 수평나누기는 ":split [파일이름]" 수직나누기는 "vs [파일이름]" 으로 나눌수 있다. 파일이름을 지정한 경우, 새로 만들어진 창에는 파일이름 을 가지는 파일이 열리고, 파일이름을 지정하지 않을경우 똑같은 파일이 열린다. 이 기능은 현재 파일의 다른 부분을 참조하고 싶을때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참조하는 부분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왔다갔다 하지 않아도 되므로). 또한 ":10split [파일이름]", "10vs [파일이름]" 등으로 창의 크기를 조절해 줄수도 있다. 창 나누기는 2개 이상 나누기도 가능하다. 이렇게 창을 분할시켜 놓으면 쏘쓰를 참조하기도 편하고, 무엇보다 편집(삭제,복사,붙이기)가 가능하므로 훨씬더 작업을 수월하게 할수 있다.

3.1.1. 화면 이동

명령 모드에서 CTRL+ww 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아래창으로 이동한다. 임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Ctrl+w 를 입력한 상태에서 이동명령[hjkl]를 이용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창이동이 가능하다.

3.1.2. 파일 네비게이션

vim 6.0 부터는 파일네비게이션 기능이 존재합니다. 예를들어 vi 로 파일을 열때 파일을 디렉토리로 지정하면 해당디렉토리의 내용이 네비게이션 되고, 디렉토리 이동및 파일 선택이 가능하다.
vi ./   # 현재 디렉토리내용을 네비게이션 해준다.

3.2. 파일 네비게이션 바 만들기

윈도우의 울트라 에디트와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왼쪽에 파일네비게이션이 있어서 원하는 파일을 바로 선택해서 편집하는 기능이 있다. vim 으로도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수 있다. 이것은 vim 의 file navigation 기능과 창나누기 기능을 이용해서 구현하면 된다. vi 가 실행되 상태에서 수직창 나누기 기능을 이용해서 ":20vs ./" 명령을 내려보자 그럼 그림과 같이 오른쪽에 파일 네비게이션 바가 생김을 알수 있다.
그림 1. 파일네비게이션을 만든 화면
이제 열기를 원하는 파일위치에 가서 shift+o 를 입력해보자, 그럼 옆의 편집창에 새로운 파일이 열리는것을 알수 잇을것이다. 여기에 더해서 편집장을 split 로 나누면, 여러개의 파일을 오가면서 편집이 가능해질 것이다. [vim 7에서는 shift+p로 단축키가 변경됐다]

3.3. 여러개의 파일 편집하기

위에서는 창나누기를 이용한 여러개의 파일편집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또다른 방법이 있다. 처음에 vim 을 통하여 여러개의 파일을 open 하고 여러개의 열린 파일을 이동하면서 편집하는 방법이다. 먼저 vim을 다음과 같이 실행시킨다.
[yundream@localhost test]# vim file1.txt file2.txt ...
그러면 처음 화면은 file1.txt 편집화면일것이다. 2번째 파일인 file2.txt 편집화면으로 넘어가길 원한다면(앞에 있는 파일 편집)
:n
file2.txt 에서 file1.txt 를 편집하길 원한다면(뒤에 있는 파일편집)
:e#
split 를 이용해서 여러개의 파일을 편집할때와 마찬가지로, 각종 편집기능(복사,삭제,붙이기)이 서로 공유되므로 편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3.4. 잠시 쉘로 나가기

보통 vim상에서 쉘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명령어] 를 사용하는데, 이것 보다는 Ctrl+z 를 이용해서 쉘로 빠져나가서 작업하는게 더 편하다. shell 이 job control 기능을 이용한것으로, 쉘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후 fg 명령을 이용해서 다시 vi 편집 상태로 되돌아 올수 있다. vim 사용자를 보면 가끔 쉘작업을 하기 위해서 vim 을 아예 종료 시켜서 쉘로 빠져나간 다음에 작업을 하고 vim 을 다시 실행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제는 그럴필요가 없이 좀더 편하게 작업을 할수 있을것이다.

3.5. 선택된 block 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split 기능을 이용해서 창을 나누고, 원하는 블럭을 선택해서 복사한다음에, 새로만든창에 가져다 붙이기를 하면 된다. 그러나 이방법은 조금 복잡한 감이 없잖아 있다. 이럴때는 블럭을 선택해서 :'<,'>w [파일명] 하면 좀더 간단하게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수 있다.

3.6. 빠른 괄호 이동

C나 C++ 을 사용하다보면 제어문이나 함수에서 많은 괄호('{','(')를 만나게 된다. 이때 괄호의 제일 마지막으로 이동하고 싶을때가 있을것이다. 이럴때는 ']}' 를 사용하면 된다. '[{' 를 사용하면 괄호의 처음으로 이동한다.

3.7. 위치 마크(mark)하기

일종의 북마크기능으로 자주참조할만한 라인을 마킹해두고 필요할때 간단히 해당 마킹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마킹을 위해서는 명령모드에서 m키를 눌러서 마킹모드로 들어가면 된다. 그리고 영문 [a-zA-Z]키중 아무거나 눌러주면 된다. 만약 a를 눌러주었다면, 현재라인은 a이름으로 마킹된다. 이후 작업을하다가 a마킹라인으로 가고 싶다면 'a 해주면된다. 이 상태에서 원래 라인으로 되돌아가고 싶다면 ''를 눌려주면 된다. 물론 다중마킹도 허용한다. 마킹할수 있는 문자는 단일영문자이다. 마킹에 사용되는 영문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함으로 최대마킹가능한 수는 27*2가 될것이다.

3.8. 폴더(접기) 기능이용하기

vim 6.0 에 새로이 포함된 좋은 기능으로 코드의 특정영역을 접을수 있다. 그럼으로 코드를 분석할때 쓸데 없는 부분을 감춰줘서 좀더 편하게 분석이 가능합니다. visual block 를 이용해서 원하는 영역을 선택한다음 :zf 를 이용하면 해당영역이 접힌다. :zo 를 사용하면 접힌영영을 원상태로 복구할수 있고 :zc 를 사용하면 해당영역을 다시 접을수 있다. 또한 다중 접기를 허용해서 접근구역을 다시 접을수도 있다.

3.9. 간단한 man 페이지 참조

vim 을 이용 코딩중에 함수의 프로토 타입이 생각나지 않을때 주로 man page 를 참조하게 된다. 보통은 창을 하나따로 띄워서 그곳에서 man page 를 보는데, 코딩중에 간단하게 해당 함수에 대한 man page 를 볼수 있다. man page 를 원하는 함수 위로 커서를 옮긴다음 Shift + k 를 입력하면 함수의 man page 가 뜰것이다. 'q' 를 입력해서 man page 를 종료시키면 원래의 vim 화면으로 되돌아온다.

3.10. 함수/변수명 자동완성

코딩중에 가장 범하기 쉬운 잘못중의 하나가 변수명및 함수명 오타일것이다. 또 변수명이 기억이 잘 나지 않아서 처음 선언한곳을 다시 확인하는 작업역시 코딩을 매우 번거롭게 한다. 이때 함수 자동완성 기능을 이용하면 이러한 염려들을 줄일수 있다. int client_sockfd 라고 변수 선언을 했다고 하자. 코딩중에 client_sockfd 를 쓸일이 있다면 cli^p 를 입력해보자. 그러면 변수 이름이 자동으로 완성되는것을 볼수 있을것이다. ^p는 Ctrl+p 이다.

3.11. ctags 를 이용한 쏘쓰 분석

쏘쓰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함수를 분석해서, 함수가 어떤일을 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ctags 를 이용하면 이러한 쏘쓰 분석작업을 좀더 수월하게 할수 있다. ctags 와 관련된문서는 ctags 를 이용한 쏘쓰 분석 을 참고하기 바란다.

3.12. 자동들여쓰기

프로그래밍 할때 indent 는 쏘쓰코드를 보기좋게 만들기 위한 필수 사항이다. 보통 tab 을 주로 쓰는데,
:set ai
명령을 이용하면 자동적으로 indent (auto indent) 를 적용시켜주므로, 좀더 코딩에만 집중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set noai
명령을 사용해서 auto indent 상태를 해제할수 있다. 요즘의 vim 은 기본적으로 auto indent 상태이므로, 별다른 설정없이 편하게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웹에서 가져다 붙이기를 할때 여기에 auto indent 가 적용되어서 걷잡을 수 없이 tab 이 들어가는 경우가 생길때도 있는데, 이럴때 set noai 를 이용해서 auto indent 를 해제하고 가져다 붙이기를 하면 된다.

3.13. 탭사이즈 조정하기

쏘쓰에서 indent 를 위해서 주로 탭을 사용하는데, 보통 이 탭 사이즈는 8로 되어 있다. 그런데 8이란 탭사이즈가 때로는 너무 커서, 쏘쓰가 화면밖으로 나가서 오히려 쏘쓰 보기를 어렵게 만들때도 있다. 이럴때 는 탭사이즈를 줄여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명령을 통해서 탭사이즈 변경이 가능하다.
:set ts=4

3.14. 라인 넘버링

코딩하다보면 라인넘버가 있으면 할때가 있다. 그럴때는
:set nu
하면 된다.
그림 2. 라인 넘버링
라인넘버를 없애고 싶다면,
:set nonu
하면 된다.

3.15. 코드를 HTML로 저장하기

vim 은 또한 코드를 HTML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syntax highlight 된 상태 그대로 HTML로 변환이 가능하다. 쏘쓰코드의 예제를 만들어서 웹상에 올리고자 할때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는 기능이다.
:so $VIMRUNTIME/syntax/2html.vim

3.16. vim 설정파일 만들기

지금까지 우리는 다양한 설정을 통해서 vim 을 좀더 쉽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다. 그런데, 탭사이즈를 적용하기 위해서 vim 을 실행시킬때 마다 ":set ts=4" 이런식으로 하면 작업이 매우 귀찮을것이다. 이럴때는 vim 을 위한 설정파일을 만들어서, vim 이 시작할때 설정파일을 읽어들여서 환경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면된다. 자기의 계정(Home) 디렉토리에 보면, .vimrc 라는 파일이 존재 할것이다. (존재하지 않는다면 만들도록한다) 이것이 설정파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자기가 원하는 내용을 설정하면 된다.
set ts=4
set nu

4. 검색이나 명령어에 저장된 값 붙여넣기

검색할 경우 '/' 입력하고 이어서 Ctrt + r + 0 누르게 되면 레지스트에 저장된 값이 붙여 넣기가 될것이다. 
하지만 더 간단한 방법은 'yy' 또는 'wy'를 통해 복사후 Shift + 8을 누르게 되면 검색이 가능하다.  

maven profile 설정(3rd party jar파일을 로컬레파지토리에 저장)

집에서 환경 셋팅하는데 자꾸 pom.xml에서 에러가 발생
즉 사용자 임의 jar파일을(3rdParty) 로컬레파지토리에 저장해 불러올때 초기에 로컬레파지토리에 저장하지 않아서 에러가 남
그래서 우선 cmd > pom.xml파일 위치에서 mvn -Pinstall-3rd install을 실행하니 BUILD FAILURE..ㅠ.ㅠ
한시간 삽질해서 알아낸 결과는 아주 간단했다.
우선 pom.xml 파일에 들어가서 현재 로컬에 저장되지 않은 dependency를 주석처리하고 mvn -Pinstall-3rd install하니 성공
그리고 나서 pom.xml파일로 다시 와서 방금 주석했던 파일을 주석 해제..


-------------------------참고----------------------------------------------------------------------------------------------
환경에 따라 설정을 다르게 해야 하는 경우 profile을 이용하면 수정없이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case에 따라 변경되어지는 키값을 설정해 둔다.

<project>
...
<profiles>
<profile>
<id>appserverConfig-dev</id>
<activation>
<property>
<name>env</name>
<value>dev</value>
</property>
<activeByDefault>true</activeByDefault>
</activation>
<properties>
<appserver.home>/path/to/dev/appserver</appserver.home>
</properties>
</profile>
<profile>
<id>appserverConfig-dev-2</id>
<activation>
<property>
<name>env</name>
<value>dev-2</value>
</property>
<activeByDefault>false</activeByDefault>
</activation>
<properties>
<appserver.home>/path/to/another/dev/appserver2</appserver.home>
</properties>
</profile>
</profiles>
..
</project>


명령
mvn -P[profile id] [phase]
예제
mvn -PappserverConfig-dev test
mvn -Denv=dev-2 integration-test <-- activation property를 이용한 방법
"activeByDefault" 이 값을 true로 하면 명령 실행시 특정 값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true인 id를 실행한다.
참고 링크 : http://maven.apache.org/guides/introduction/introduction-to-profiles.html
프로파일을 통해 개발, 로컬, 운영버전을 각각 패키징하여 처리하고 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점이 많은거 같습니다.